이산화염소(ClO2) 관련 자료

이산화염소의 세균 및 바이러스 제거 메커니즘

케이와이리 2024. 4. 29. 09:29
728x90

이산화염소(ClO2)는 다양한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강력한 살균제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습니다. 최근에는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 팬데믹 이후 이산화염소의 바이러스 제거 기전과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산화염소의 세균 감염 및 바이러스 감염 예방 메커니즘

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 H1N1)
    이산화염소(ClO2)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표면의 헤마글루티닌(HA)을 구성하는 아니노산 티로신과 트립토판에 특이적으로 작용하고 이를 산화시키는 것으로 입증 되었습니다. 또한 이산화염소는 감염된 세포의 헤마글루티닌(HA)의 수용체 결합 부위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트립토판 153잔기를 산화시켜 바이러스의 세포 수용체 결합 능력을 저하시켜 바이러스 침입을 차단합니다.

2.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SARS-CoV-2)  
  이산화염소(ClO2)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표면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작용하고 ACE2 수용체에 대한 결합을 억제합니다. 이로써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3.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이산화염소(ClO2)는 녹농균과 같은 그람 음성 박테리아 세포벽을 구성하는 주변 세포질 공간을 변화시캡니다. 이로써 녹농균의 세포벽을 파괴하고 세균을 억제합니다. 

이산화염소는 바이러스 세포 침입을 담당하는 외피 단백질을 산화하고 변성시켜 바이러스의 활성을 저하시킵니다. 또한 이산화염소는 바이러스 유전자를 직접 산화하여 유전자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전자 손상은 바이러스의 증식 능력을 저하시키고 바이러스 변종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이산화염소의 세균 및 바이러스 예방(제거) 활용 분야

이산화염소의 강력한 바이러스 제거 효과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공기 정화: 실내 공기, 병원, 공공 장소 등의 공기를 살균하여 공기 중 바이러스 전파를 방지합니다. 특히, 이산화염소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비롯한 다양한 바이러스에 대한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 표면 살균: 병원, 실험실, 공공 장소 등의 표면과 기구를 소독하여 바이러스 오염을 제거하고 감염 위험을 줄입니다.
  • 수처리: 음용수 및 산업용수를 처리하여 바이러스 및 기타 유기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안전한 물을 공급합니다.
  • 식품 산업: 식품 표면 살균, 식품 가공 살균, 식품 가공 장비 및 용기 살균 등을 통해 식품 오염을 방지하고 식품 안전을 유지합니다.
  • 농업: 씨앗, 묘목, 토양 살균, 축산 시설 및 동물 사료 살균, 농산물 세척 및 소독 등을 통해 농작물 질병 예방, 동물 건강 유지, 농산물 품질 향상에 기여합니다.

이산화염소는 강력한 살균, 소독, 탈취 효과를 지닌 화합물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습니다. 하지만, 고농도의 이산화염소 사용은 건강에 해를 입힐 수 있음으로 취급에 주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