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트라파인버블(UFB)

초미세 버블(Ultrafine Bubble)의 수명

케이와이리 2024. 8. 19. 09:07
728x90

초미세 버블(Ultrafine Bubble, UFB)은 지름이 100nm(나노미터) 미만인 아주 작은 기포로, 물 속에서 독특한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을 나타냅니다. 초미세 버블의 수명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달라지지만, 그 주요 특성과 수명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초미세 버블의 특성

  • 크기: 초미세 버블은 일반 미세 버블보다 훨씬 작아서,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이며 물 속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 수명: 일반 기포는 물 속에서 빠르게 상승하여 수면에서 터지는 반면, 초미세 버블은 매우 작은 크기로 인해 중력의 영향을 적게 받아 물 속에서 오랜 시간 동안 머무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초미세 버블은 며칠에서 몇 주까지 유지될 수 있습니다.
  • 부력: 초미세 버블은 크기가 작아 부력이 거의 없어 물 속에서 장시간 떠다닐 수 있습니다.

2.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초미세 버블(UFB)는 특수한 조건에서 몇 주에서 몇 달까지도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일반적인 기포가 수 초에서 수 분 정도 유지되는 것과 비교하면 매우 긴 수명입니다. 

  • 기포 크기: 기포의 크기가 작을수록 내부 압력이 높아져 안정성이 증가하고 수명이 길어집니다.
  • 액체의 종류: 물의 순도, 용존 물질의 종류 및 농도, pH 등 액체의 특성에 따라 UFB의 수명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순수한 물에서 UFB의 수명이 가장 길고, 불순물이나 용존 물질이 많을수록 수명이 짧아집니다.
  • 온도: 온도가 높아질수록 기체의 용해도가 감소하고 UFB의 붕괴 속도가 빨라져 수명이 짧아집니다.
  • 압력: 압력이 높아질수록 UFB의 내부 압력도 증가하여 안정성이 높아지고 수명이 길어집니다.
  • 외부 에너지: 초음파, 전자기장 등 외부 에너지에 노출되면 UFB의 붕괴가 촉진되어 수명이 짧아질 수 있습니다.

3. 측정방법

  • 나노 입자 추적 분석(NTA): 이 기술은 액체에 떠 있는 나노 크기의 입자에 레이저를 쪼이고, 현미경으로 그 움직임을 추적함으로써 입자의 크기와 농도를 측정합니다. NTA를 사용한 측정에서는 UFB의 수명이 상대적으로 길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동적 광산란(DLS): 빛의 산란을 활용해 입자 크기 분포를 측정하는 기술입니다. DLS를 사용한 측정에서 UFB의 수명이 NTA보다 짧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DLS가 작은 기포를 탐지하는 데 제한이 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4. 초미세 기포(UFB)에 대한연구 사례

  • "Physical Properties of Ultrafine Bubbles Generated Using a Generator System" (2019): 이 연구는 특정 발생기 시스템을 사용하여 생성된 UFBs가 초순수 및 세포 배양 배지에서 최대 6개월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NTA 측정으로 확인하였습니다.
  • "Long-term stability of ultrafine bubbles in water: Effects of gas species, pH, and electrolytes" (2021):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가스 유형, pH 및 전해질 농도 조건 하에서 UFB의 수명을 DLS를 활용하여 측정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UFB의 수명은 가스 유형, pH, 전해질 농도에 따라 크게 변화할 수 있으며, 특정 조건에서는 몇 달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초미세 버블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수처리, 농업, 의료 및 화장품 등에서 그 특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초미세 버블의 긴 수명과 안정성은 이러한 분야에서의 효용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UFB의 수명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일반 기포보다 훨씬 오래 지속됩니다. 이는 UFB를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킵니다. 그러나 UFB의 수명을 정확히 예측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와 기술 개발이 요구됩니다.

  •